AWS의 VPC에 대해 알아보자

AWS의 VPC에 대해 알아보자

생성일
Apr 4, 2023 07:42 AM
Description
AWS의 VPC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보자
Tag
AWS

VPC를 이해하기 위한 선수 지식

📌
초기 VPC 관련 내용은 모두 IPv4 기준으로 설명함을 인지하고 들어가자.
 
IP 주소는 32자리 2진수 이며, 총 개수는 약 40억개 정도 된다.
 
네트워크 주소 + 호스트 주소로 구성이 된다
 
IP를 8비트 기준 4등분 하게 된다면 각각 옥탯이라고 부른다.
옥탯 별로 IP의 클래스를 A, B, C로 나눌 수 있다.
1 0 1 0 1 1 0 0
1 0 1 0 1 0 0 0
0 0 0 0 1 0 1 0
0 0 0 0 0 0 0 1
172
168
10
1
Octet 1
Octet 2
Octet 3
Octet 4
A 클래스는 Octet1이 네트워크 아이디 이고, 나머지 옥탯들을 호스트의 아이디로 사용
B 클래스는 Octet2 까지를 네트워크 아이디로 사용
C 클래스는 Octet3 까지를 네트워크 아이디로 사용
C를 쓰기에는 네트워크 아이디 하나 당 사용할 수 있는 아이피가 적고, B는 많기 때문에 이 방법은 예전에 없어졌다.
이후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게 됨
( A ⇒ /8, B ⇒ /16, C ⇒ /24 )
 

CIDR ( Classless Inter-Domain Routing )

📌
클래스 없는 도메인간 라우팅 기법 ( /XX 방식. 0~32 까지 표현이 가능 )
CIDR은 급격히 부족해지는 IPv4 주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한다.
표현형식은 xxx.xxx.xxx.xxx/yy 형태이며 맨 뒤의 yy는 서브넷 마스크를 2진수로 바꾸었을 때 1의 개수.
192.168.0.0/24 라면 옥텟 3까지가 24일테니, 그 이후부터인 25~32 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.
( 192.168.0.0 ~ 192.168.0.255 )
 
EXAMPLE
IP
FROM
TO
143.7.65.203/16
143.7.0.0
143.7.255.255
143.7.65.203/24
143.7.65.0
143.7.65.255
143.7.65.203/23
143.7.64.0
143.7.65.255
 
notion image
각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 짓고, Inter-Domain과 같이 구분된 네트워크간통신을 위한 주소 체계라고 이해하면 좋다고 한다..
 

VPC의 작동 방식

📌
VPC는 사용자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. IP 범위 주소는 서브넷이다. 이 둘은 CIDR 표기법을 따른다.
  • block 설정은 /16 ~ /28 이다.
  • 각 Subnet CIDR block에서 첫 4개의 IP 주소와 마지막 IP 주소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인스턴스에 할당할 수 없다.
    • 10.0.0.0:네트워크 주소
    • 10.0.0.1:AWS에서 VPC 라우터용으로 예약한 주소
    • 10.0.0.2:AWS에서 예약한 주소 DNS 서버의 IP 주소
    • 10.0.0.3:AWS에서 앞으로 사용하려고 예약한 주소
    • 10.0.0.255: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주소. VPC에서는 브로드캐스트를 지원하지 않고 이 주소를 예약
 
AWS에서는 private IP의 사용을 추천하고 있기 때문에
10/8 prefix 172.16/12 prefix 192.168/16 prefix
세가지 대역을 최대한 사용하자
 

기본 VPC 구성 요소 단계

  • IPv4 CIDR /16 블록에 해당하는 VPC를 만든다. → xxx.xxx.0.0 ~ xxx.xxx.255.255 이기 때문에 총 2^16 = 65535개의 프라이빗 IPv4 주소를 제공 받는다
  • 각 가용영역에 크기 /20의 기본 서브넷을 설정
  •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만들어 기본 VPC에 연결
  • 네트워크 엑세스제어목록 (ACL)을 생성하여 기본 VPC에 연결
  • AWS 계정에서 설정된 기본 DHCP 옵션을 기본 VPC에 연결
 

가용 영역 ( AZ ) ?

우리는 각 지역. 즉 리전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다.
리전 안에서 가용 영역이라는 격리된 위치가 여러개 존재하는데, 그렇게 때문에 각 리전에서도 한쪽 영역이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 한쪽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하다. ELB를 붙여서 각 가용영역으로 트래픽을 분배해줄 수도 있다고 한다.
 

인터넷 게이트웨이

인터넷 게이트웨이는 VPC의 인스턴스와 인터넷간에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준다.
인터넷으로 데이터를 보내야 한다면, 당연히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트래픽을 전달해야 한다.
이 라우팅을 서브넷의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해야 하는데, 서브넷이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향하는 라우팅이 있는 경우를 퍼블릭 서브넷이라고 부른다.
어떤 서브넷이 인터넷 연결을 할 필요가 없다면 이 서브넷은 프라이빗 서브넷 이라고 한다.
 
NAT를 쓰게되면 프라이빗 서브넷의 인스턴스를 인터넷에 연결을 시킬 수 있지만 인터넷에서 해당 인스턴스로 접근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.
NAT 게이트웨이를 만드려면 이 게이트웨이가 속할 퍼블릭 서브넷을 만들어야 한다.
그리고 NAT 게이트웨이와 연결할 Elastic IP ( 탄력적 IP ) 도 지정해야 한다. 그리고 프라이빗 서브넷과 연결된 라우팅 테이블을 NAT 게이트웨이를 바라보게 해야 한다.
참고로 여러 가용영역에 NAT 게이트웨이를 하나를 공유하게 되면 NAT 게이트웨이 가용영역이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쪽도 영향을 받는다. 이에 따라 가용영역 당 NAT 게이트웨이를 만들어야 한다.
 
notion image
위 그림에서, Private Subnet에서 yum repository 접근을 위해 해당 서브넷의 ACL의 경우 80포트의 NAT Gateway IP인 198.51.100.4 (source IP)가 아닌 Private IP를 Allow 시켜야 할 것 이다. ( private IP 써라 )
 
추가적으로 더 알아보자면, 데이터 센터를 디자인 할 때 네트워크 단에서 반드시 고려 하는 것이 Public / Private network 존을 나누는 것이라고 한다.
  • Public 존
    • 외부와 통신이 직접적으로 필요
    • Web Server와 같은 Front-end layer
  • Private
    • 외부와의 통신이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음
    • Back-end, DB ( RDS도 이래서 여기에 있어야겠지..? )
 

논외…!

조금 검색을 해보니, NAT gateway와 Bastion host 라는 친구가 조금 뜻이 겹치는 것으로 이해 되어, 정리를 조금 해놓고 넘어가려 한다.
  • NAT gateway
    • private subnet에 위치한 instance가 다른 AWS 서비스에 연결해야 하는 경우 ( 이것이 바로 VPC 피어링 이겠지…? )
    • 인터넷에서 Private instance에 접근 불가 조건은 유지하면서 반대로 instance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연결이 필요한 경우
  • Bastion Host
    • Private Subnet에 배포된 instance의 경우 외부에서 접근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( ACL ), SSH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. ⇒ Bastion host
    • Proxy 역할의 서버
 
notion image
  1. Bastion host도 Public Subnet에 위치를 하게 하여 EC2 instance에 생성하는 듯 하다..
  1. 인바운드 규칙을 통해 특정 IP만 열어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ACL, 보안그룹을 설정한다
  1. Bastion host를 통해 Private Subnet에 상주한 instance로 접근
추가로 SSH Tunneling을 이용해서 외부에서 Private instnace에 접속하는 방법또한 있다고 한다.
-L 을 사용해서 SSH를 접속해놓은 상태로 터미널을 하나 더 열어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, 나중에 알아보도록 하자..
 

네트워크 액세스 ( ACL ) 제어 목록

📌
1개 이상의 서브넷 내부와 외부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방화벽 역할
NAT Gateway 통신을 위해서 Network ACL 을 설정해야 한다고 한다.
EC2에서 보안그룹을 생성할 수 있듯, VPC 에서도 보안을 생성할 수 있다. 이것이 바로 ACL 이다.
 
보안 그룹
  • 인스턴스 레벨에서 운영
  • 허용 규칙만 지원 ( 어떤 ip 대역을 허용할지 )
  • 인스턴스 시작시 지정하거나 보안그룹을 나중에 인스턴스와 연결해야 적용 됨
네트워크 ACL
  • 서브넷 레벨에서 운영
  • 허용 규칙과 거부 규칙 지원
  • 연결된 서브넷의 모든 인스턴스에 자동 적용
 
notion image
위 이미지에서 ACL부터 보자. 172.31.1.2/32 라는 특정 ip만 제외하고 다른 모든 트래픽은 막아져있다.
그러므로 저 서브넷은 한 ip만이 접근 가능하다. 아웃바운드 규칙 또한 마찬가지이다.
 
인스턴스의 보안 그룹 규칙을 보면, SSH 연결은 ACL 에서 허용 된 ip가 허용 되어있고, 모든 트래픽이 허용되어있다. 즉 서브넷 안에서는 자유롭게 통신이 가능하며 외부는 172.31.1.2/32 ip를 제외하고 모두 차단하는 형태이다.
 

DHCP (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)

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. IP를 필요로 하는 컴퓨터에게 자동으로 할당해주고, 사용하지 않으면 반환해서 다른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게 해줌
AWS 에서는 최대 4개의 자체 DNS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. 그렇게 하려면 VPC와 함께 사용할 DHCP 옵션을 지정해야 한다.
 
지정할 수 있는 옵션 값
  • domain-name-servers
  • domain-name
  • ntp-servers
  • netbios-name-servers
  • netbios-note-type
 

Flow log

VPC 내 트래픽에 대한 로그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이라고 한다.
  • instance에 유입되는 트래픽을 모니터링
  • ACL로 인해 예기치 않은 통신 두절 상황에서 Trouble shooting 도구로 사용이 가능
⇒ CloudWatch Log를 사용하여 저장하게 된다.
 
TODO
  • VPC Flow log를 위한 CloudWatch의 Log group 생성
  • 생성한 Log group에 log stream을 사용할 수 있는 IAM role 권한 지정
 
 

VPC 피어링 ( Peering )

피어링 개본 개념

VPC 간에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 있도록 한다.
게이트웨이 / VPN 커넥션과 상관이 전혀 없으며 Single Point of Failure나 대역폭 병목도 문제가 없음
AWS 계정이 두 개 이상인 경우 두 계정 리소스간 통신이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.
 
  1. 요청자 VPC가 수락자 VPC에게 피어링 연결을 요청
      • 요청자 VPC의 CIDR 블럭과 중첩되는 CIDR 블럭은 사용할 수 없음
  1. 수락자 VPC의 소유자가 피어링 연결을 수락
  1. 프라이빗 IP 주소를 사용해서 피어링 하는 경우 각 VPC 소유자가 다른 VPC의 IP 를 가리키는 경로를 하나 이상의 VPC 라우팅 테이블에 수동으로 추가해야 한다.
  1. VPC에서 주고받는 트래픽이 제한이 되는경우 인스턴스의 보안그룹(Security Group)을 업데이트합니다.
 

피어링 연결 수명 주기

notion image
  1. initiating request - 피어링 연결 요청
    1. 실패 or pending acceptance
  1. Pending acceptance - 승인 대기
    1. 보내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이 취소할 수 있음.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7일 후 expired
  1. Provisioning - 수락자가 수락한 경우
  1. Active - 아무나 연결을 끊을 수 있음
 
피어링을 통해서 연결 다리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음

IPv6 서브넷

이건 추후에 더 알아보는 것으로 하자..
 
 

References